집중력훈련

뇌가 좋아하는 시간 분배법: 시간 차단(Time Blocking) 전략

danoopapa 2025. 9. 21. 01:30
반응형

일정은 있는데, 왜 집중은 안 될까?

필자는 한동안 일정 관리 앱에 하루를 꽉 채워 넣었다. 9시~10시 자료 조사, 10시~12시 글쓰기, 1시~2시 회의… 하지만 실제로는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일정은 있었지만, 집중의 흐름이 끊기기 일쑤였다. 그때 알게 된 방법이 바로 시간 차단(Time Blocking) 전략이었다. 단순히 할 일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집중을 위한 시간 블록을 미리 확보하고, 그 시간에는 다른 어떤 일도 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식이다.

시간 차단이 효과적인 이유: 심리학적 근거

  1. 주의 전환 비용 감소
    작업을 자주 바꾸면 뇌는 매번 전환 비용을 치른다. Time Blocking은 하나의 블록에 한 가지 과제만 넣어 전환 피로를 줄인다.
  2. 자기조절 강화
    시간 블록은 뇌에 “이 시간에는 이 일만 한다”라는 분명한 규칙을 준다. 이는 의지력 소모를 줄인다.
  3. 몰입 예열 효과
    일정 블록이 반복되면 뇌는 루틴을 학습해 더 빨리 몰입에 들어간다.

연구 사례

  • 미국 MIT 연구: Time Blocking을 적용한 집단은 단순 To-Do 리스트 집단보다 생산성이 23% 높았다.
  •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 연구: 일정 블록이 있는 집단은 집중 흐름(Flow)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았다.

필자의 경험: ‘아침 글쓰기 블록’

필자는 오전 9시~11시를 글쓰기 전용 블록으로 지정했다. 그 시간에는 메일 확인도, 회의도 배제했다. 놀랍게도 단 2주 만에 글쓰기 효율이 두 배로 뛰었다. ‘아침에는 글을 쓴다’라는 뇌의 학습이 이루어지니, 앉자마자 바로 집중 흐름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Time Blocking 실천법

  1. 핵심 작업 먼저 배치
    뇌가 가장 맑은 시간대(아침 2~3시간)에 가장 중요한 일을 넣는다.
  2. 유사 작업 묶기
    이메일, 전화, 잡무를 한 블록에 몰아 넣어 산만한 전환을 줄인다.
  3. 휴식도 블록에 포함
    휴식 시간이 빠지면 블록이 무너진다. 오히려 짧은 블록 휴식이 집중을 길게 만든다.
  4. 유연성 확보
    모든 시간을 빽빽하게 채우지 말고, 예상치 못한 상황을 위한 빈칸을 남겨둔다.

Time Blocking 구조 예시

시간대 블록 내용
09:00~11:00 집중 블록 글쓰기, 기획, 공부 등 핵심 작업
11:00~12:00 커뮤니케이션 블록 메일 확인, 회의
12:00~13:00 점심·휴식 산책, 낮잠
13:00~15:00 프로젝트 블록 팀 협업 과제
15:00~15:30 리프레시 블록 운동, 스트레칭
15:30~17:30 실행 블록 단순 업무 처리
17:30~18:00 정리 블록 다음날 준비

 

Time Blocking은 단순히 시간을 계획하는 기술이 아니다. 그것은 뇌의 집중 메커니즘에 맞춰 환경을 설계하는 전략이다.

마무리

필자는 이제 To-Do 리스트보다 Time Blocking을 더 신뢰한다. 집중의 흐름은 우연히 생기지 않는다. 시간을 의도적으로 차단해야 몰입의 길이 열린다.

반응형